중과부적(衆寡不敵)의 뜻과 재미있는 이야기, 실생활 사용 예
중과부적(衆寡不敵)은 "적은 수로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즉 상대가 우리 편보다 훨씬 많으면 이기기 어렵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통해 중과부적의 의미를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한자급수 3II급 | |||
---|---|---|---|
衆 | 寡 | 不 | 敵 |
무리 중 | 적을 과 | 아닐 부(불) | 원수 적 |
옛날, 한 작은 왕국에 충성스럽고 용맹한 장수 진린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강대국 진나라가 대군을 이끌고 이 작은 왕국을 침공해 온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진나라는 막강한 군대를 보유한 대국이었고, 그들의 병력은 수만에 달했습니다.
작은 왕국의 군사는 고작 몇 천 명에 불과했지만, 진린은 왕의 명을 받아 적군을 막기 위해 출정했습니다.
그는 병사들을 용감하게 이끌며 방어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우고, 험한 지형을 이용해 적을 맞이했습니다.
초반에는 지형의 이점을 활용해 적군 일부를 물리치며 승리를 거두는 듯 보였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진나라의 병력은 끊임없이 몰려왔습니다.
진린은 전장에서 눈앞에 펼쳐진 적들의 수많은 깃발과 병사들을 보며, 적이 너무 많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 압도적인 숫자를 도저히 이길 수가 없었습니다.
결국 진린은 전쟁에서 패할 수밖에 없었고, 왕국은 적에게 함락당하고 말았습니다.
이 이야기는 적은 병력으로 많은 병력을 상대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잘 보여주며, 중과부적의 의미를 잘 전해줍니다.
1️⃣ 유의어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 고군분투(孤軍奮鬪) – 적은 수로 많은 적과 외롭게 싸움.
🔹 과부적중(寡不敵衆) – 적은 수가 많은 수를 당할 수 없음. (👉 중과부적과 거의 동일한 뜻)
2️⃣ 반의어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 이적요적(以寂若寂) – 소수지만 강해서 다수를 제압함.
🔹 이소적대(以少敵大) – 적은 수로 많은 적을 이김.
🔹 소부대중(少扶大衆) – 소수지만 대중을 이끌어 승리함.
🔹 백전백승(百戰百勝) – 싸우면 백 번 백 번 이김. (숫자에 관계없이 강함)
3️⃣ 실생활 사용 예시
📌 사회 & 직장
✅ 소규모 스타트업이 대기업과 경쟁할 때
"우리는 인력도 자본도 턱없이 부족해."
"지금은 완전히 중과부적(衆寡不敵) 상황이야.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해."
✅ 프로젝트 인원이 너무 적을 때
"이걸 다섯 명이서 해내라고? 스무 명이 해도 빠듯할 판인데."
"중과부적(衆寡不敵)인데 추가 지원 요청하자."
📌 학교 & 교육
✅ 소수 반 학생들이 체육대회에서 대거 많은 반과 경쟁할 때
"우리 반은 열 명인데 저쪽은 서른 명이야."
"중과부적(衆寡不敵)이라 결과는 뻔하지."
✅ 토론 대회에서 한 팀만 인원이 부족할 때
"상대는 네 명인데 우리는 둘밖에 없네."
"완전 중과부적(衆寡不敵) 상황이야. 논리로 승부해야지."
📌 일상 & 인간관계
✅ 소수 의견이 다수 의견에 묻힐 때
"회의에서 네 말이 묻혔잖아."
"어쩔 수 없지. 중과부적(衆寡不敵)인데."
✅ 친구들끼리 의견 충돌했을 때
"너 혼자 반대했더니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네."
"다수결이라 중과부적(衆寡不敵)이었어."
📌 정치 & 사회 문제
✅ 소수당이 거대 여당과 싸울 때
"법안 통과시키려고 해도 힘이 너무 부족해."
"지금은 중과부적(衆寡不敵)이라 현실적으로 어려워."
✅ 약소국이 강대국과 외교 협상할 때
"힘의 차이가 너무 크다."
"중과부적(衆寡不敵)이니 연합 전략을 짜야 해."
📌 온라인 & 커뮤니티
✅ 소수 의견이 대세 여론과 부딪힐 때
"댓글 보니까 거의 다 반대야."
"중과부적(衆寡不敵)이라 내 주장이 힘을 못 쓰네."
✅ 게임이나 배틀에서 상대 팀 인원이 훨씬 많을 때
"우리 팀은 네 명인데 상대는 여덟 명이야."
"완전 중과부적(衆寡不敵)이네. 수비 위주로 가자."
🔹 정리
✅ 중과부적(衆寡不敵)은 '많은 수에 적은 수가 맞설 수 없다'는 뜻으로, 인원이나 힘의 차이가 너무 커서 결과를 뒤집기 힘든 상황을 말합니다.
✅ 특히 조직, 사회, 학교, 정치 등 다수와 소수의 대결 구조가 있을 때 자주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