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의 뜻과 유래

  • 홈
  • 태그
  • 방명록

고삿성어 1

이목지신(移木之信), 이목이신(移木以信)의 뜻과 유래, 실생활 사용 예

이목지신(移木之信)은 “나무를 옮겨 신의를 세운다”는 뜻으로, 작은 약속이라도 반드시 지켜 신뢰를 얻는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입니다. 즉, 하찮은 일처럼 보여도 약속을 지키는 것이 결국 큰 신뢰로 이어진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 고사는 진나라를 통일한 진시황의 재상, 상앙(商鞅)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 이야기를 알아보고 이목지신의 뜻을 좀 더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한자급수 3II급移木之信옮길 이나무 목어조사 지믿을 신춘추전국시대, 진나라에는 효공(孝公)이라는 군주가 있었습니다. 그는 강력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개혁을 결심했고, 마침 그때 위나라 출신의 뛰어난 정치가 상앙(商鞅)을 등용하게 됩니다. 상앙은 법을 엄격히 다스리고 나라를 강하게 만들기 위한 법가(法家) 사상에 기반한 개혁..

고사성어의 유래 2025.05.02
이전
1
다음
프로필사진

고사성어의 뜻과 유래

고사성어 이야기꾼님의 블로그 입니다.

반응형
  • 분류 전체보기 (227) N
    • 윤리 강령 (14)
    • 사자성어와 역사속으로 (29)
    • 사자성어와 이야기 (82)
    • 고사성어의 유래 (102) N

Tag

과실상규, 자손만대, 세속오계, 스스로 칭찬, 모기를 보고 칼을 뽑다,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 노년의 쓸쓸함, 고사성어, 사자성어, 용의 맛과 봉황의 국, 여출일구, 한자성어, 엉뚱한 대답, 용미봉탕, 견문발검, 한자, 묻지도 따지지도, 한잣성어, 고삿성어, 쓸쓸한 가을, 만장폭포, 수간모옥, 옥을 갈다, 별유천지, 우물안 개구리, 이목이신, 극진한 대접, 동생공사, 사잣성어, 한자급수,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2025. 05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