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의 유래

절차탁마(切磋琢磨)의 뜻과 유래, 실생활 사용 예

고사성어 이야기꾼 2025. 5. 15. 06:00
반응형

절차탁마(切磋琢磨)는 "뼈를 자르고 갈며, 옥을 쪼고 닦는다"는 뜻으로, 자기 수양이나 학문, 기술을 끊임없이 노력하여 다듬는 과정을 비유합니다. 또한, 때로는 서로를 수양하게 하는 좋은 벗이나 동료와의 관계를 표현할 때도 사용합니다.

이 사자성어는 『시경(詩經)』 위풍(衛風) "기오(淇奧)" 편에서 유래합니다. 그 내용을 알아보고 절차탁마의 뜻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해 보겠습니다.

한자급수 특II급
끊을 절 갈 차 다듬을 탁 갈 마

기원전 11세기에서 6세기 사이, 중국은 서주(西周) 시대로 접어들어 주나라가 천명을 받아 천하를 다스리던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도덕과 예(禮), 음악(樂)을 중시하는 예악(禮樂) 중심의 정치 문화가 펼쳐졌습니다.

그 중심에는 백성들의 노래와 귀족들의 시가를 모은 중국 최초의 시가집인 시경(詩經)이 있었습니다. 공자 또한 “시경을 익히지 않으면 말을 할 수 없다(不學詩, 無以言)”고 할 만큼 이를 매우 중시했습니다.

시경에 수록된 여러 지방의 노래 가운데, 위나라 지역의 노래를 모은 위풍(衛風)에는 주목할 만한 시가 여럿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중 「기오(淇澳)」편에는 군자의 수양을 묘사한 상징적인 시구가 등장합니다.

“如切如磋,如琢如磨”
(여절여차 여탁여마)
(뼈를 자르듯, 뼈를 갈듯, 옥을 쪼듯, 옥을 닦듯)
이 구절은 당시 위나라의 덕망 높은 군자를 칭송하며, 그가 끊임없이 학문을 익히고 도덕을 닦는 모습을 묘사한 것입니다.

당시 사람들은 군자의 덕과 품격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날마다 갈고닦는 노력의 결과라고 믿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수공예 기술의 묘사가 아니라, 군자가 스스로를 연마하는 삶의 방식을 비유한 말이었습니다.

후세의 유학자들은 이 구절을 단순히 뼈와 옥을 다듬는 장면에 대한 묘사로 여기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이를 군자가 인격을 수양하고 학문을 갈고닦는 과정을 상징하는 중요한 표현으로 받아들였으며, 그 뜻을 담아 오늘날까지 절차탁마(切磋琢磨)라는 말로 전해지게 된 것입니다.

 

1️⃣ 유의어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 마부작침(磨斧作針)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끈질기게 노력함.
🔹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千里之行 始於足下) – 위대한 목표도 작은 노력에서 시작됨.
🔹 발분망식(發憤忘食) – 분발하여 열심히 노력함.

🔹 우공이산(愚公移山) - 아무리 어려운 일도 꾸준히 노력하면 결국 이룰 수 있다는 뜻.

🔹 수적천석(水滴穿石) -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는 말로, 작은 노력도 지속되면 큰 결과를 이룸.


2️⃣ 반의어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 좌고우면(左顧右眄) – 이리저리 망설이기만 하며 행동하지 않음.
🔹 작심삼일(作心三日) - 결심을 해도 사흘을 못 가서 흐지부지됨.

🔹 수주대토(守株待兔) - 노력 없이 과거의 행운이나 방식에만 기대는 자세


3️⃣ 실생활 사용 예시

📌 사회 & 직장

✅ 회사 내에서 실력을 갈고닦을 때
"신입 때는 실수도 많았지만 지금은 누구보다 일 잘하지."
"응, 몇 년 동안 절차탁마(切磋琢磨) 해온 결과야."

✅ 멘토-멘티 관계
"팀장님이 계속 피드백 주고 조언해줘서 많이 배웠어요."
"좋은 멘토와 함께한 절차탁마(切磋琢磨) 덕분이네."


📌 학업 & 교육

✅ 친구와 함께 열심히 공부할 때
"매일 도서관에서 같이 공부하면서 서로 문제 내주고 가르쳐줬어."
"진짜 절차탁마(切磋琢磨) 그 자체였지."

✅ 교수님과의 연구 지도
"논문 열 번 넘게 고쳤어요. 교수님이 매번 지적해주시고."
"그런 과정을 통해 실력이 느는 거지. 절차탁마(切磋琢磨) 였네."


📌 예술 & 스포츠

✅ 예술가가 실력을 갈고닦을 때
"그 화가, 하루도 안 빠지고 드로잉 연습한대."
"정말 절차탁마(切磋琢磨) 하는 장인 정신이다."

✅ 스포츠 선수의 반복 훈련
"그 선수, 실력이 갑자기 좋아진 게 아니라 매일 반복 훈련 덕분이래."
"꾸준한 절차탁마(切磋琢磨) 가 있었던 거지."


📌 인간관계 & 인성

✅ 자신을 수양하려는 자세
"그 친구는 자존심 강했는데, 요즘엔 성숙해졌더라."
"스스로 절차탁마(切磋琢磨) 한 결과 아닐까?"

✅ 서로 성장하는 친구 관계
"우린 서로 부족한 점을 지적해주면서 계속 발전해온 사이야."
"진짜 좋은 친구네. 절차탁마(切磋琢磨) 의 본보기다."


📌 재테크 & 경제

✅ 창업자가 시행착오 끝에 성공할 때
"처음엔 실패했지만 계속 개선하면서 결국 히트 상품을 만들었지."
"끊임없는 절차탁마(切磋琢磨) 덕분이야."


🔹 정리

절차탁마(切磋琢磨)는 뼈를 자르고, 옥을 쪼고, 갈고 닦는다는 뜻으로, 학문이나 덕행, 기술 등을 끊임없이 배우고 노력하여 연마함을 의미합니다.
혼자만의 수양뿐 아니라, 서로가 서로를 자극하고 성장시키는 관계 속에서도 자주 쓰입니다.
'노력은 결코 배신하지 않는다'는 태도를 상징하는 말로, 학교, 직장, 예술, 인간관계 등 다방면에서 널리 쓰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