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와 이야기

인상착의(人相着衣)의 뜻과 이야기, 실생활 사용 예

고사성어 이야기꾼 2025. 7. 7. 20:45
반응형

인상착의(人相着衣)란, 사람의 겉모습이나 차림새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주로 특정한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경찰이 범죄 용의자의 외모나 옷차림을 묘사할 때 인상착의를 말합니다.

한자급수 5II급
사람 인 볼(서로) 상 붙을 착 옷 의

한밤중 지훈은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인적이 드문 골목을 지나고 있었습니다. 그때, 앞쪽에서 검은 모자를 쓴 남자가 천천히 걸어오는 것이 보였습니다.

남자는 검은색 가죽 재킷을 입고, 짙은 회색 바지에 검은 운동화를 신고 있었습니다. 그의 얼굴은 모자로 거의 가려져 있었습니다.

지훈은 순간적으로 불안감을 느꼈지만, 그냥 지나가는 사람일 거라며 마음을 다잡았습니다. 그런데 가까이 다가갈수록 남자는 지훈을 똑바로 쳐다보며 걸어왔습니다.

두 사람의 거리가 점점 좁혀지자, 지훈은 긴장했지만 자연스러운 표정을 지으려 애썼습니다. 남자는 지훈 앞을 스켜 지나가더니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멀어져 갔습니다.

집에 도착한 지훈은 뉴스를 켰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조금 전 그 골목 근처에서 범죄가 발생했으며, 용의자의 인상착의가 검은 모자와 가죽 재킷을 입은 남자로 묘사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지훈은 뉴스를 통해 용의자의 인상착의가 자신이 마주친 남자와 정확히 일치한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인상착의 하나로도 누군가의 정체를 추적할 수 있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는 순간이었습니다.

 

1️⃣ 유의어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 용모단정(容貌端正) – 얼굴 생김새와 옷차림이 단정하고 바른 모습.
🔹 의관정제(衣冠整齊) – 옷차림과 차림새가 깔끔하고 단정함.
🔹 풍모당당(風貌堂堂) – 풍채와 외모가 당당하고 위엄 있는 모습.


2️⃣ 반의어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 남루폐색(襤褸弊索) – 옷차림이 남루하고 초라함.
🔹 초라단장(草羅丹粧) – 겉모습만 꾸며 허울뿐인 외양.
🔹 형용기괴(形容奇怪) – 생김새나 옷차림이 괴상하고 이상함.


3️⃣ 실생활 사용 예시

📌 경찰 & 범죄 수사
✅ 목격자의 증언
“그 사람 인상착의 기억나세요?”
“네, 모자 쓰고 어두운 점퍼에 회색 바지 입었어요.”

✅ 지명수배 전단 작성
“도주 중인 용의자의 인상착의는 검정색 후드티에 군청색 청바지입니다.”


📌 학교 & 행사
✅ 소풍이나 체험학습 때
“혹시 빨간 점퍼 입은 아이 보셨어요?”
“음… 인상착의가 기억 안 나네요. 사진이라도 있어요?”

✅ 졸업식 풍경
“저기 저 키 크고 한복 입은 학생 누구야?”
“그 인상착의 보니까 반장이네. 어울린다.”


📌 일상생활 & 만남
✅ 소개팅에서
“어떻게 생겼다고 했지?”
“인상착의가 셔츠에 슬랙스, 안경 쓰고 단정한 스타일이래.”

✅ 택배기사와의 응대
“혹시 이거 기사님 거예요?”
“네, 인상착의 보니까 아까 엘리베이터에서 본 분 맞네요.”


📌 방송 & 연예계
✅ 미스터리 프로그램에서
“수상한 인물의 인상착의를 기억하십니까?”
“네, 얼굴은 잘 안 보였지만 노란 코트를 입고 있었어요.”

✅ 연예인 목격담
“그 배우 봤어? 인상착의가 확 달라졌던데?”
“맞아, 헤어스타일 바꾸고 멋있어졌더라.”


🔹 정리
인상착의(人相着衣)는 사람의 얼굴 생김새(人相)와 옷차림새(着衣)를 함께 이르는 말로, 특정 인물을 식별하거나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실제 범죄 수사, 일상에서 사람을 찾거나 기억할 때 중요한 단서로 쓰이며, 외형적인 첫인상을 설명할 때 유용한 표현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