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령모개(朝令暮改)는 '아침에 내린 명령을 저녁에 고친다'는 뜻으로, 법령이나 정책이 자주 변경되어 일관성이 없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변석개(朝變夕改)라고도 합니다. 의미에는 별차이가 없지만 조령모개는 정치에 많이 쓰인다면, 조변석개는 개인적인 상황까지도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쓰입니다.
한자급수 3II급 | |||
---|---|---|---|
朝 | 令 | 暮 | 改 |
아침 조 | 하여금 령 | 저물 모 | 고칠 개 |
이 조령모개는 가의의 논귀속소라는 상소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전한(前漢) 시대, 문제(文帝) 시절에 가의라는 젊고 재능 있는 학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학식으로 박사라는 관직에 올랐고, 문제 황제의 신임을 받았습니다.
당시 한나라는 흉노족의 침략과 내부 혼란, 그리고 경제적 어려움으로 백성들이 큰 고통을 겪고 있었습니다.
가의는 이러한 상황을 안타깝게 여겨,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고 국가의 안정을 이루기 위해 상소문을 올렸습니다. 그 상소문이 바로 '논귀속소'입니다.
가의는 상소문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부역이 너무 가혹하여 작은 농가에서도 가족들이 생업을 포기하고 부역에 나서야 합니다. 세금과 부역의 시기가 일정하지 않아 백성들이 어떻게 살아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합니다.

심지어 재난을 당한 이들에게도 동일한 부담을 지우고 있습니다. 아침에 내린 명령이 저녁에 바뀌니(조령모개), 백성들이 혼란에 빠지고 있습니다."
그는 농업을 진흥하고, 부역과 세금을 조정하며,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이러한 제안을 통해 백성들의 부담을 줄이고 국가의 근본을 튼튼히 하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급진적인 생각과 젊은 나이로 인해 보수적인 관료들의 반발을 샀고, 결국 지방으로 좌천되어 장사왕태부로 임명되었습니다. 가의는 그곳에서 33세의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가의의 상소문과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특히 '조령모개'라는 표현은 정책의 일관성 부족이 얼마나 큰 혼란과 고통을 초래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그의 이야기는 오늘날에도 정책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사회 발전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주는 교훈이 되고 있습니다.
1️⃣ 유의어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조변석개(朝變夕改) - 아침저녁으로 자주 바꾼다는 뜻으로, 결정이나 정책이 일관성이 없는 것.
일관성 결여(一貫性缺如) - 처음 정한 방침을 지키지 못하고 자꾸 바뀌는 상황.
좌고우면(左顧右眄) - 상황에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며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태도.
2️⃣ 반의어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일편단심(一片丹心) - 한 가지 원칙이나 신념을 끝까지 지키는 태도.
유지경성(有志竟成) - 한 번 정한 목표나 원칙을 변함없이 밀고 나가는 것.
확고부동(確固不動) - 쉽게 흔들리지 않고 한 가지 방침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
철두철미(徹頭徹尾) -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을 유지하는 태도.
마부작침(磨斧作針)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끈기와 인내를 강조.
3️⃣ 실생활 사용 예시
📌 역사 속 사례
✅ 청나라 말기의 개혁 실패
- "청나라는 개혁 정책을 내놓았다가 곧 철회하는 조령모개(朝令暮改) 식 정책 운영으로 결국 신뢰를 잃었다."
✅ 고려 말 개혁의 혼란
- "고려 말 신진 사대부와 보수 세력이 번갈아가며 정권을 잡으며 개혁안을 바꿨다. 이는 조령모개 식 정치의 전형이었다."
📌 사회 & 직장
✅ 정부 정책이 자주 바뀔 때
- "부동산 정책이 1년 새 몇 번이나 바뀌었어. 이건 완전 조령모개 야."
✅ 회사에서 자주 바뀌는 업무 방침
- "우리 회사는 경영진이 바뀔 때마다 규정이 바뀌어서 혼란스러워. 조령모개 도 이런 조령모개 가 없지."
📌 학업 & 교육
✅ 입시 정책이 자주 바뀌는 경우
- "고3 수험생들은 입시 정책이 자꾸 바뀌어서 혼란스러워. 조령모개 식 정책은 정말 문제야."
✅ 교수님이 과제 기준을 계속 바꿀 때
- "어제는 보고서를 쓰라더니, 오늘은 발표로 바꾸셨네? 이건 완전 조령모개 야."
📌 일상 & 인간관계
✅ 친구가 약속을 자주 번복할 때
- "점심 먹기로 했다가 저녁으로 바꿨다가 다시 취소했다가… 너 너무 조령모개 아니야?"
✅ SNS에서 트렌드가 자주 바뀔 때
- "SNS 트렌드는 하루가 다르게 변해. 완전 조령모개 세상이야."
✅ 부모님이 공부 방법을 자꾸 바꿀 때
- "학원 보내셨다가 독학하라 하셨다가 다시 학원 보내고… 완전 조령모개 잖아!"
✅ 연애에서 상대방의 태도가 변덕스러울 때
- "오늘은 날 좋아하는 것 같다가 내일은 차갑고… 너 왜 이렇게 조령모개 하냐?"
'고사성어의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경지수(明鏡止水)의 뜻과 유래 (4) | 2024.12.15 |
---|---|
촌철살인(寸鐵殺人)의 뜻과 유래 (1) | 2024.12.15 |
사면초가(四面楚歌)의 뜻과 유래 (2) | 2024.12.15 |
와신상담(臥薪嘗膽)의 뜻과 유래 (4) | 2024.11.10 |
수주대토(守株待兔)의 뜻과 유래 (4) | 202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