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면초가(四面楚歌)는 사방에서 적의 노랫소리가 들린다는 뜻으로, 모든 방향이 적에게 둘러싸여 매우 절망적이고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경우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즉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르는 말입니다.
한자급수 2급 | |||
---|---|---|---|
四 | 面 | 楚 | 歌 |
넉 사 | 얼굴 면 | 초나라 초 | 노래 가 |
유래는 <사기>의 <항우본기>에 나오는 말입니다.

기원전 202년, 중국 대륙은 초나라의 항우와 한나라의 유방이 맞붙은 전쟁의 마지막 순간을 맞이하고 있었습니다.
항우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가진 장수였지만, 신안대학살과 같은 잔혹한 행동으로 민심을 잃었으며 정치적 지혜 또한 부족했습니다. 그리고 인재를 적절히 기용하지 못하면서 그의 부하들은 점점 유방의 편으로 떠났습니다.
초나라와 한나라 사이에 최후의 결전은 해하에서 벌어졌습니다. 한나라 군대는 초나라 군을 완벽히 포위했지만, 초나라 군사들은 끝까지 결사적으로 싸웠습니다.
초나라 군사들의 기세가 쉽게 꺾이지 않자 한나라 군에서는 심리전을 펼쳐 사방에서 초나라의 고향 노래를 울려 퍼지게 했습니다.
사방에서 초나라의 노래 소리가 들리자 고향과 가족 생각에 기세가 꺾인 초나라 군에서 탈영병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한나라군은 탈영하는 초나라 병사들을 죽이지 않고 지나가게 해주자 탈영의 규모는 삽시간에 늘어났습니다.

심지어 항우의 숙부인 항백, 그리고 초나라 군의 최고의 장군인 종리말, 계포 등도 탈영했을 지경이었습니다. 결국 초나라군에는 몇몇 장수와 800여명의 군사만이 남았다고 합니다.
항우는 사방에서 들리는 초나라 노래소리에 깊은 절망에 빠졌습니다. 그는 “어찌 초나라 노래를 부를 줄 아는 사람이 이렇게 많단 말인가!”라며 슬퍼했습니다.
항우는 그날 밤 남은 병사들과 함께 필사적으로 탈출했지만 추격대를 따돌리지 못하고 결국 패배를 인정하고 자결하고 말았습니다.
이 사건으로부터 유래한 '사면초가'는 네 방향에서 모두 초나라 노래가 울려 퍼지던 절망적인 상황을 상징하며, 사방이 적에게 둘러싸여 더 이상 나아갈 길이 없는 위기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1️⃣ 유의어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고립무원(孤立無援) - 주변의 도움을 받을 곳이 없어 외롭고 힘든 상황.
풍전등화(風前燈火) - 바람 앞의 등불처럼 위태롭고 절박한 처지.
진퇴양난(進退兩難) - 앞으로 나아갈 수도, 뒤로 물러설 수도 없는 곤란한 상황.
절체절명(絶體絶命) - 목숨이 경각에 달린 절박한 상황.
2️⃣ 반의어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여유자적(餘裕自適) - 어떤 어려움도 없이 편안한 상태.
천하태평(天下太平) - 아무런 걱정이나 근심이 없는 태평한 상태.
3️⃣ 실생활 사용 예시
📌 역사 속 사례
✅ 항우의 마지막 전투(해하 전투)
- "초나라 항우는 사면이 포위된 상태에서 초나라의 노래 소리를 듣고 절망하며 패배했다. 이것이 사면초가(四面楚歌) 의 유래다."
✅ 임진왜란 중 명나라 군대의 철수
- "조선은 명나라 원군이 철수하면서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사면초가 에 빠질 뻔했다."
📌 사회 & 직장
✅ 회사에서 상사의 신뢰를 잃고, 동료들에게도 외면당할 때
- "내가 실수한 이후로 팀장님도 나를 신뢰하지 않고, 동료들도 거리를 두는 것 같아. 완전 사면초가 야."
✅ 스타트업 기업이 경쟁에서 밀려 어려움을 겪을 때
- "자금도 부족하고, 투자자들도 떠나고, 경쟁사는 성장하고 있어. 우리 회사는 지금 사면초가 상태야."
📌 학업 & 교육
✅ 시험을 망치고 부모님과 선생님께 혼날 상황
- "시험 성적이 엉망이라 부모님한테도 혼나고 선생님도 실망하셨는데, 진짜 사면초가 같다."
✅ 졸업을 앞두고 논문과 취업 준비로 힘들 때
- "논문 마감도 얼마 안 남았고, 취업 준비도 해야 하고… 사면초가 상황이야."
📌 일상 & 인간관계
✅ 친구, 가족, 직장 동료 모두에게 외면당한 상황
- "내가 실수 하나 했다고 다들 나를 피하다니, 이게 무슨 사면초가 야."
✅ 연애에서 잘못을 저질러 상대방과 친구들에게 비난받을 때
- "여자친구한테 실수한 것도 모자라서 친구들도 내 편을 안 들어주네. 완전 사면초가 야."
✅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비판을 받을 때
- "내가 댓글 하나 잘못 달았는데, 사람들이 나한테 달려들어서 완전 사면초가 상태야."
✅ 혼자서 집안일을 떠맡게 되었을 때
- "가족들이 다 바쁘다고 나한테 집안일을 다 떠넘기네. 나만 고생하는 사면초가 상황이야."
'고사성어의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촌철살인(寸鐵殺人)의 뜻과 유래 (1) | 2024.12.15 |
---|---|
조령모개(朝令暮改)의 뜻과 유래 (2) | 2024.12.15 |
와신상담(臥薪嘗膽)의 뜻과 유래 (4) | 2024.11.10 |
수주대토(守株待兔)의 뜻과 유래 (4) | 2024.10.29 |
결초보은(結草報恩)의 뜻과 유래 (3)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