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신상담(臥薪嘗膽)은 땔나무에서 누워 자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복수나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해 다가오는 어떠한 고난도 참고 이겨낸다는 말입니다. 어려운 환경을 참고 견디며 목표를 이루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인내심과 결단력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이 고사성어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오왕 부차와 월왕 구천의 복수에 대한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럼 그들의 이야기로 한번 떠나볼까요?
춘추전국시대, 오나라와 월나라는 서로 깊은 원한을 품고 있었습니다. 오나라의 왕 합려는 월나라의 정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무리하게 전쟁을 일으켰다가 대패하고 말았습니다. 이 전쟁에서 오왕 합려는 치명적인 부상을 입고, 치료를 받던 중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임종 직전, 합려는 아들 부차를 불러 "반드시 월나라에 복수하라"는 유언을 남기고 숨을 거두었습니다.
부차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오나라의 왕이 된 후, 복수에 대한 강한 결심을 다졌습니다. 그는 아침저녁으로 땔나무 위에 누워 고통을 견디며 스스로를 단련했고,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부차야, 너는 월나라가 아버지를 죽인 사실을 잊었는가?"라고 외치게 했습니다.
그의 굳은 결의에 대한 소문이 월나라에 전해지자, 월나라 왕 구천은 분노하여 오나라를 공격했습니다. 그러나 부차의 군대는 강력했고, 구천의 군대는 크게 패배하고 맙니다. 절망에 빠진 구천은 회계산으로 도망쳐 더 이상 저항할 방법이 없자, 자신은 부차의 신하가 되고 부인은 부차의 첩이 되겠다며 항복을 청했습니다.
부차는 이를 받아들였고, 구천은 오나라에서 수년간 노예처럼 지내며 온갖 굴욕을 견뎌야 했습니다. 어느 날, 부차가 병에 걸리자 구천은 지극정성으로 부차를 간호했고, 심지어 그의 변을 맛보며 병세를 진단했습니다. 그 결과 부차의 병이 나았고, 감동한 부차는 구천을 용서하고 월나라로 돌려보냈습니다.
월나라로 돌아온 구천은 굴욕의 기억을 잊지 않기 위해 자리에 쓸개를 매달아 두고 누울 때마다 쓸개의 쓴맛을 보며 "너는 회계에서 당한 치욕을 잊었는가?"라며 복수를 다짐했습니다. 그는 범려의 지혜를 빌려 복수의 계획을 세웠고, 미녀 서시를 부차에게 바쳤습니다. 서시의 미모에 빠진 부차는 별궁까지 지으며 그녀에게 푹 빠졌고, 국정은 점점 기울어갔습니다.
20년 동안 복수의 기회를 엿보던 구천은 오나라가 방심한 틈을 타 공격했고, 결국 부차에게서 항복을 받아내며 마침내 복수에 성공했습니다.
이러한 고사를 통해 와신상담이라는 고사성어가 탄생했습니다. 부차의 땔나무 위에서의 고통스러운 인내, 즉, 와신(臥薪)과 구천의 쓸개를 맛보며 복수를 다짐한 결의, 즉, 상담(嘗膽)을 합쳐, 어려움을 참고 견디며 목표를 이루기 위해 끝까지 노력하는 자세를 뜻하는 교훈이 담긴 말로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령모개(朝令暮改)의 뜻과 유래 (2) | 2024.12.15 |
---|---|
사면초가(四面楚歌)의 뜻과 유래 (2) | 2024.12.15 |
수주대토(守株待兔)의 뜻과 유래 (3) | 2024.10.29 |
결초보은(結草報恩)의 뜻과 유래 (2) | 2024.10.23 |
계명구도(鷄鳴狗盜)의 뜻과 유래 (3) | 202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