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초보은(結草報恩)은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받은 은혜를 잊지 않고 끝까지 보답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자신을 구해준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죽어서도 풀을 엮어 도움을 주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으며, 공자가 지은 노나라의 역사서인 춘추의 주석서인 [춘추좌씨전]에 그 기록이 나와 있습니다. 그 이야기가 어떤 내용인지 한번 알아볼까요?
한자급수 4II급 | |||
---|---|---|---|
結 | 草 | 報 | 恩 |
맺을 결 | 풀 초 | 갚을 보 | 은혜 은 |

춘추시대, 진(晉)나라의 위무자에게는 젊은 첩이 하나 있었습니다. 어느 날, 위무자가 병에 들자 아들 위과를 불러 자신이 죽으면 첩을 재혼시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병세가 악화되어 위독해지자, 위무자는 말을 바꾸어 자신이 죽으면 첩을 순장시키라고 했습니다.
위무자가 죽자, 아들 위과는 아버지의 상반된 유언 중 무엇을 따를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그는 아버지가 맑은 정신으로 한 첫 번째 유언을 따르기로 하고, 서모를 순장시키지 않고 친정으로 돌려보내 재혼시켰습니다.
그 후, 위과는 전쟁터에서 진(秦)나라 군대와 싸우게 되었는데, 적장 두회(杜回)는 워낙 용맹하여 진(晉)나라 군사들이 감히 맞서지 못했습니다.

그러던 중, 두회가 갑자기 비틀거리더니 쓰러졌고, 위과는 그 틈을 타 두회를 쉽게 사로잡아 큰 공을 세웠습니다.
위과는 두회가 쓰러진 자리를 살펴보니 풀들이 매듭지어져 있었습니다.

그날 밤, 위과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났습니다. 그는 서모의 친정 아버지였는데, 자신의 딸을 구하고 재혼시켜 준 위과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그 은혜를 갚기 위해 풀을 엮어 두회를 쓰러뜨려 사로잡게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결초보은(結草報恩)은 작은 은혜라도 잊지 않고 베풀면 언젠가 반드시 갚는다는 진리를 보여주는 사자성어로, 사람들에게 진심으로 베푸는 선행의 중요성을 가르쳐줍니다.
1️⃣ 유의어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 백골난망(白骨難忘) - ‘백골이 되어도 잊기 어렵다’는 뜻으로, 죽은 뒤에 백골이 되어서도 그 은혜를 잊지 않겠다는 의미
🔹 각골난망(刻骨難忘) - ‘뼈에 새겨 잊기 어렵다’는 뜻으로, 마음속 깊이 새겨서 결코 잊지 않음을 이르는 말
🔹 보은(報恩) - 받은 은혜에 대한 보답.
🔹 보답(報答) - 은혜를 갚는 것.
🔹 고마운 마음을 보답하다(報恩之心) -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며 은혜를 갚다.
2️⃣ 반의어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 배은망덕(背恩忘德) - 받은 은혜를 저버리고 잊어버리는 것.
🔹 망각(忘却) - 받은 은혜를 잊고 보답하지 않는 것.
🔹 절교(絶交) - 관계를 끊고 인연을 끊는 것.
3️⃣ 실생활 사용 예시
📌 역사 속 사례
✅ 춘추전국시대 오나라의 복수
- "오나라 왕이 구천왕에게 은혜를 받았지만, 그 후 반드시 복수를 다짐하며 결초보은(結草報恩) 의 뜻을 실천한 이야기가 있다."
✅ 조선왕조실록에서 은혜를 갚은 사례
- "이순신 장군은 항우가 자신에게 베푼 은혜를 잊지 않고 결초보은 하며 나라를 구했다."
📌 사회 & 직장
✅ 업무에서 누군가의 도움을 받은 후 보답할 때
- "너무 고마워서 이번 프로젝트에서 너의 아이디어를 적극 반영했어. 결초보은 해야지!"
✅ 직장에서 은혜를 갚을 때
- "옛 동료가 어려울 때 도와주었으니 이번에는 내가 그 은혜를 결초보은 하려고 나서서 도와줄 거야."
📌 학업 & 교육
✅ 학업에서 도움을 받은 친구에게 보답할 때
- "친구가 논문을 도와줬으니 졸업 후에도 꼭 은혜를 결초보은 해야지."
✅ 교사의 가르침에 보답하는 경우
- "이 선생님께 많은 것을 배웠고, 나도 나중에 학생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결초보은 하겠습니다."
📌 일상 & 인간관계
✅ 친구의 도움을 받았을 때 보답하는 경우
- "지난번에 큰일을 도와줘서 고마웠어. 너의 은혜를 결초보은 하겠다."
✅ 가족에게 받은 사랑을 보답할 때
- "부모님의 은혜는 말로 다 할 수 없어요. 평생 결초보은 해야 할 것 같아요."
✅ 연인에게 받은 사랑에 보답할 때
- "내가 항상 사랑해주고 아껴주는 걸로 너의 은혜를 결초보은 하고 싶어."
'고사성어의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신상담(臥薪嘗膽)의 뜻과 유래 (4) | 2024.11.10 |
---|---|
수주대토(守株待兔)의 뜻과 유래 (4) | 2024.10.29 |
계명구도(鷄鳴狗盜)의 뜻과 유래 (3) | 2024.10.20 |
형설지공(螢雪之功)의 뜻과 유래 (1) | 2024.10.20 |
정저지와(井底之蛙)의 뜻과 유래 (1) | 2024.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