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대토(守株待兔)의 뜻은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의미로, 아무런 노력이나 변화 없이 요행만을 바라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고사성어입니다. 즉, 과거의 성공에 집착해 변화하지 않고, 우연히 찾아온 기회를 다시 얻으려는 어리석은 행동을 말합니다.
이 고사성어는 [한비자]라는 책의 <오두편>에 나오는 이야기 입니다. 한비자는 전국시대 말의 한나라 출신으로 법가사상으로 유명한 사람인데, 이 한비자의 저서 제목이 [한비자]입니다. 이 책에는 충국 춘추시대 송(宋)나라 사람의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그 이야기로부터 수주대토의 사자성어가 유래되었습니다. 이제 짧지만 유래가 된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볼까요?
한자급수 3II급 | |||
---|---|---|---|
守 | 株 | 待 | 兔 |
지킬 수 | 그루 주 | 기다릴 대 | 토끼 토 |
중국 춘추시대, 송나라에 한 농부가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농부는 밭을 갈다가 잠시 그루터기에 앉아 쉬고 있었습니다. 그때, 토끼 한 마리가 쏜살같이 달려오더니 밭 한가운데 있는 그루터기에 부딪혀 그 자리에서 목이 부러져 죽고 말았습니다.
뜻밖의 횡재에 기뻐한 농부는 토끼를 집으로 가져가 요리해 먹으며, 쉽게 얻은 토끼 고기의 맛을 만끽했습니다. 그 순간 농부는 숲에는 토끼가 많은데 굳이 힘들게 농사를 지을 필요가 없을거라 생각했습니다.
그 후 농부는 농사일을 접고, 매일같이 그루터기 앞에서 또 다른 토끼가 와서 부딪히길 기다렸습니다. 하지만 그런 행운은 다시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결국 농부는 주변 사람들의 비웃음을 사게 되었고, 한편 농사를 돌보지 않던 밭은 이미 잡초로 뒤덮여 있었습니다. 그렇게 농부는 어리석게도 안일함과 요행을 바란 대가로 한 해 농사를 모두 망치고 말았습니다.
수주대토는 우리 속담 '감나무 밑에서 홍시 떨어지기 기다린다'라는 속담과 비슷한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성실하게 노력하지 않고 요행을 바라는 것은 결국 실패를 불러온다는 교훈을 전합니다.
🔹 각주구검(刻舟求劍) -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과거의 방식을 고집하는 태도.
🔹 연목구어(緣木求魚) -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방법을 시도하는 것.
🔹 교주고슬(膠柱鼓瑟) - 융통성 없이 틀에 박힌 사고방식을 유지하는 것.
🔹 좌정관천(坐井觀天) - 우물 안 개구리처럼 좁은 시각만 고집하는 태도.
2️⃣ 반의어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 임기응변(臨機應變) -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
🔹 우공이산(愚公移山) - "어리석은 사람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끊임없는 노력과 도전으로 결국 목표를 달성하는 태도를 의미
🔹 마부작침(磨斧作針)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끊임없는 노력과 끈기를 통해 결국 목표를 이루는 태도를 의미
🔹 자강불식(自強不息) - "스스로 쉬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한다"는 뜻
3️⃣ 실생활 사용 예시
📌 역사 속 사례
✅ 진나라의 보수적 정책 실패
- "진나라는 변화하는 시대를 외면하고 과거 방식을 고집하다 결국 멸망했다. 이는 전형적인 수주대토(守株待兔) 식 사고방식이었다."
✅ 조선 후기 쇄국 정책
- "조선이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지 않고 쇄국 정책을 고수한 것은 수주대토 같은 어리석은 결정이었다."
📌 사회 & 직장
✅ 시장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기업
- "IT 업계는 빠르게 변하는데, 전통적인 방식만 고집하는 회사는 수주대토 하다가 도태될 거야."
✅ 기존 고객만 바라보며 변화하지 않는 경영 전략
- "우리는 신규 시장을 개척해야 하는데, 기존 고객만 바라보는 건 수주대토 식 경영이야."
📌 학업 & 교육
✅ 새로운 학습 방법을 거부하는 태도
- "인터넷 강의도 있고 AI 학습 도구도 나오는데, 아직도 종이책으로만 공부하는 건 수주대토 같은 방식이야."
✅ 입시 제도가 변했는데도 과거 방식을 고집하는 경우
- "수능보다 학생부가 중요한 시대인데, 옛날처럼 문제만 풀고 있는 건 수주대토 야."
📌 일상 & 인간관계
✅ 연애 방식이 변화했는데도 과거 방식을 고집할 때
- "요즘은 온라인으로도 자연스럽게 연애가 시작되는데, 무조건 소개팅만 하겠다는 건 수주대토 같은 태도야."
✅ 운동을 전혀 하지 않으면서 건강이 좋아지길 바라는 경우
- "운동은 안 하고 약만 먹으면서 건강해지길 바라는 건 수주대토 야."
✅ SNS에서 변화하는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할 때
- "유튜브 알고리즘도 바뀌는데 예전 방식 그대로 영상을 올리는 건 수주대토 식 전략이야."
✅ 로또에만 의존하는 사람을 볼 때
- "아무 노력도 안 하고 로또만 기다리는 건 완전 수주대토 아니냐?"
'고사성어의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면초가(四面楚歌)의 뜻과 유래 (2) | 2024.12.15 |
---|---|
와신상담(臥薪嘗膽)의 뜻과 유래 (4) | 2024.11.10 |
결초보은(結草報恩)의 뜻과 유래 (3) | 2024.10.23 |
계명구도(鷄鳴狗盜)의 뜻과 유래 (3) | 2024.10.20 |
형설지공(螢雪之功)의 뜻과 유래 (1) | 202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