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의 뜻과 유래

  • 홈
  • 태그
  • 방명록

2025/05/13 1

백아절현(伯牙絶絃)의 뜻과 유래, 실생활 사용 예

백아절현(伯牙絶絃)은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자신의 음악을 진정으로 이해해주던 친구가 죽자, 음악도 의미를 잃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즉, 진정한 친구를 잃은 깊은 상실감을 뜻하며, 더 나아가 “진심으로 교감할 수 있는 친구의 부재”, “천하에 둘도 없는 절친”을 상징합니다. 이 표현은 춘추시대 백아의 이야기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그 이야기를 통해 백아절현의 의미를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한자급수 3급伯牙絶絃맏 백어금니 아끊을 절줄 현춘추시대 진(晉)나라의 거문고 명인 백아(伯牙)는 탁월한 연주 솜씨로 많은 이들의 찬사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그의 음악을 진심으로 이해해주는 이는 좀처럼 찾기 어려웠습니다. 어느 날, 백아는 연주 여행 중 우연히 종자기라는 한 나무꾼을 만나게 됩..

고사성어의 유래 2025.05.13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고사성어의 뜻과 유래

고사성어 이야기꾼님의 블로그 입니다.

반응형
  • 분류 전체보기 (230) N
    • 윤리 강령 (14)
    • 사자성어와 역사속으로 (29)
    • 사자성어와 이야기 (83) N
    • 고사성어의 유래 (104) N

Tag

별유천지, 노년의 쓸쓸함, 고삿성어,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 한자성어, 사잣성어, 극진한 대접, 한잣성어, 고사성어, 사자성어, 한자, 세속오계, 용미봉탕, 옥을 갈다, 스스로 칭찬, 견문발검, 모기를 보고 칼을 뽑다, 여출일구, 자손만대, 우물안 개구리, 동생공사, 만장폭포, 엉뚱한 대답, 용의 맛과 봉황의 국, 묻지도 따지지도, 쓸쓸한 가을, 수간모옥, 한자급수, 이목이신, 과실상규,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