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빙한설(凍氷寒雪)은 '얼음이 얼고 차가운 눈이 내리는 혹독한 겨울'이라는 의미로, 매우 추운 겨울의 상황을 묘사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는 단순히 기후적 어려움을 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떠한 어려움이나 고난이 극에 달한 상태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동빙한설에 어울리는 상황은 고려와 몽골의 전쟁 당시 이를 겪었던 고려 백성들의 고난과 아픔일 것입니다. 그 역사 속 이야기를 알아보겠습니다.
한자급수 3II급 | |||
---|---|---|---|
凍 | 氷 | 寒 | 雪 |
얼 동 | 얼음 빙 | 찰 한 | 눈 설 |

고려 말기, 특히 여몽 전쟁(1231년~1270년)은 몽골 제국이 고려를 여러 차례 침공한 전쟁으로, 고려 백성들이 겪었던 고난과 추위가 극에 달했던 시기입니다.
이때 고려 왕실은 강화도로 천도하여 몽골군의 침입을 피하려 했고, 고려의 백성들은 장기간에 걸친 전쟁과 혹독한 겨울을 견뎌야 했습니다.
특히 1231년 겨울, 몽골군은 고려의 주요 도시와 농경지를 파괴하며 남하했고, 추운 겨울 동안 고려 백성들은 식량 부족과 극심한 추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산속으로 피신하거나 성벽 안에서 몽골군에 맞서 싸워야 했습니다.
그해 겨울은 기록에 따르면 매우 추웠고, 백성들은 "동빙한설"과 같은 혹독한 환경 속에서 굶주림과 싸우며 몽골군의 침략을 견뎌야 했습니다.

몽골군은 겨울철에도 전투를 멈추지 않고 잔혹하게 마을을 공격했습니다. 고려 군사들은 산성이나 천혜의 지형을 활용하여 강하게 저항을 했습니다.
하지만 백성들은 농사를 지을 수 없었고, 혹한의 겨울 속에서 몽골군의 약탈을 피해 식량과 피난처를 찾아야 했습니다. 특히 강화도로 피난하지 못한 백성들은 이 고난을 가장 심하게 겪었습니다.
이 전쟁은 30여 년에 걸쳐 이어졌고, 백성들은 계속되는 혹한과 몽골군의 침략 속에서 견디며 많은 희생을 치러야 했습니다. 이후, 고려는 몽골과 강화를 맺게 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고려의 민중들이 겪었던 고난은 이 "동빙한설"이라는 말과 같은 상황을 연상케 하는 역사적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됩니다.
1️⃣ 유의어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 엄동설한(嚴冬雪寒) – 한겨울의 심한 추위. 자연적인 추위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됨
🔹 빙천설지(氷天雪地) – 하늘도 얼고 땅도 눈으로 뒤덮임. 매우 혹독한 환경을 묘사
2️⃣ 반의어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 화풍난양(和風暖陽) – 부드러운 바람과 따뜻한 햇살. 온화한 날씨 또는 포근한 분위기
🔹 춘풍화우(春風化雨) – 봄바람과 단비. 교육이나 은혜가 부드럽고 따뜻하게 스며듦을 의미
3️⃣ 실생활 사용 예시
📌 기후 & 자연
✅ "이번 겨울은 동빙한설이라는 말이 딱 맞아. 체감 온도가 영하 20도래."
✅ "강원도 산간은 동빙한설 그 자체야. 바람까지 불어서 체감이 훨씬 더 추워."
📌 사회 & 경제
✅ "고물가에 고금리까지 겹치니 서민 경제는 동빙한설 같은 상황이야."
✅ "자영업자들은 지금 동빙한설 같은 한파 속에서 버티고 있는 중이야."
📌 직장 & 조직
✅ "그 팀은 실적 부진으로 상사 눈치까지 봐야 해서, 요즘 분위기가 완전 동빙한설이래."
✅ "성과 없다고 인센티브도 없대. 연말인데 다들 동빙한설처럼 냉랭하더라."
📌 가정 & 인간관계
✅ "부부 사이가 요즘 동빙한설이야. 말 한 마디 없이 지나가는 날이 많대."
✅ "친구랑 싸우고 나니까 연락도 없고, 분위기가 동빙한설 그 자체야."
📌 문학 & 예술
✅ "그 소설 속 주인공의 삶은 동빙한설처럼 외롭고 냉혹했어."
✅ "영화 속 배경도 동빙한설이 펼쳐진 설원이라, 주인공의 고통이 더 와닿았지."
🔹 정리
✅ 동빙한설(凍氷寒雪)은 단순한 추위를 넘어, 자연의 혹독함, 삶의 냉혹함, 또는 관계의 차가움을 표현할 수 있는 매우 상징적인 사자성어입니다.
👉 날씨뿐 아니라 사회적 어려움, 감정적 거리, 극한 상황 등을 묘사할 때도 비유적으로 폭넓게 사용됩니다.
'사자성어와 역사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렴청정(垂簾聽政)의 뜻과 역사 속의 명종의 어머니 문정왕후, 실생활 사용 예 (2) | 2025.04.19 |
---|---|
백해무익(百害無益)의 뜻과 역사 속 분서갱유, 실생활 사용 예 (1) | 2025.04.13 |
전대미문(前代未聞)의 뜻과 역사 속 이야기, 실생활 사용 예 (1) | 2025.04.13 |
사고무친(四顧無親)의 뜻과 역사 속 이야기, 실생활 사용 예 (3) | 2025.04.12 |
녹양방초(綠楊芳草)의 뜻과 역사 속 양귀비 이야기, 실생활 사용 예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