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치부심(切齒腐心)은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인다는 뜻으로, 분하거나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이를 갈며 마음속 깊이 분노를 느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자급수 3II급 | |||
---|---|---|---|
切 | 齒 | 腐 | 心 |
끊을 절 | 이 치 | 썩을 부 | 마음 심 |
이 고사성어는 사마천의 《사기》 자객열전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절치액완(切齒扼腕)이라고도 합니다. 그 유래에 대해 한번 알아볼까요?
중국 전국시대의 막바지, 진(秦)나라는 강력한 군사력과 정치적 술수를 통해 천하 통일을 향해 나아가고 있었습니다.
진나라에는 번어기(樊於期)라는 이름을 가진 장수가 있었습니다. 그는 뛰어난 용맹과 충성으로 진나라를 위해 싸웠지만, 진왕의 의심 많은 성격이 그의 운명을 비극으로 몰아넣었습니다.
진왕은 번어기의 능력을 두려워하며 그가 반란을 일으킬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품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명분으로 번어기의 가족을 몰살시키고 번어기를 죽이려 했습니다.
번어기는 가까스로 목숨을 건져 연(燕)나라로 도망쳤지만, 모든 것을 잃은 그의 마음은 분노와 슬픔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번어기는 자신의 억울함을 갚지 않고서는 삶의 의미가 없다며 복수를 다짐했습니다. 그는 이 분노와 결의를 “절치액완(切齒掊腕)”이라 표현하며, 이를 갈고 팔을 움켜쥐며 복수를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기로 했습니다.
그는 연나라의 식객인 유명한 형가(荊軻)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번어기는 형가에게 자신의 사연을 털어놓으며 복수의 뜻을 전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목숨까지도 복수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며 형가에게 협력을 요청했습니다.
형가는 그와 함께 진왕을 암살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번어기는 자신의 목을 진나라 왕에게 바칠 "믿을 수 있는 선물"로 사용하라는 형가의 제안에 동의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직접 복수를 실행할 수 없더라도, 자신의 죽음이 복수의 기회를 열 수 있다면 기꺼이 목숨을 바칠 각오를 했습니다. 결국 번어기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그의 목은 연나라가 진왕에게 보내는 공물로 위장되었습니다.
형가는 번어기의 목과 지도를 선물로 바치며 진왕에게 접근했습니다. 진왕은 형가의 진심을 의심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형가는 진왕에게 칼을 겨눌 기회를 얻었습니다.
1️⃣ 유의어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와신상담(臥薪嘗膽) - 원수를 갚거나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고통을 참고 견디는 것.
분골쇄신(粉骨碎身) - 뼈가 부서지고 몸이 가루가 될 정도로 노력하는 것.
발분망식(發憤忘食) -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해 먹는 것도 잊고 노력하는 것.
2️⃣ 반의어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태연자약(泰然自若) -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차분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
무사태평(無事泰平) - 특별한 고민이나 걱정 없이 평온하게 살아가는 태도.
안분지족(安分知足) - 자신의 처지를 받아들이고 만족하는 삶.
3️⃣ 실생활 사용 예시
📌 역사 속 사례
✅ 한신이 치욕을 참고 노력한 이야기
- "한신은 젊은 시절 굴욕을 당했지만 절치부심(切齒腐心) 하며 결국 위대한 장군이 되었다."
✅ 이순신 장군의 칠전팔기 정신
-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은 억울한 옥살이를 견디며 절치부심 끝에 다시 전장에 나섰다."
📌 사회 & 직장
✅ 회사가 경쟁에서 밀린 후 다시 도전하는 경우
- "작년에 경쟁사에 밀려 계약을 놓쳤지만, 우리는 절치부심 해서 올해 반드시 성공할 거야!"
✅ 승진에 실패한 후 더 노력하는 경우
- "이번에 승진을 못 했지만, 실력을 더 쌓아서 다음 기회엔 꼭 올라가야지. 절치부심 하면서 준비해야겠어."
📌 학업 & 교육
✅ 시험에서 실패한 후 다시 도전하는 경우
- "이번 시험에서 떨어졌지만, 절치부심 해서 다음번엔 반드시 합격할 거야."
✅ 논문이나 연구가 좌절된 후 다시 도전하는 경우
- "논문이 반려되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절치부심 하면서 더 철저하게 준비해야겠다."
📌 일상 & 인간관계
✅ 다이어트 실패 후 다시 도전할 때
- "지난달에 실패했지만, 이번에는 절치부심 해서 반드시 목표 몸무게를 만들겠어!"
✅ 연애에서 실연을 겪은 후 성장하는 경우
- "실연의 아픔을 절치부심 하며 극복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할 거야."
✅ 게임에서 패배한 후 다시 도전하는 경우
- "이번 경기에서 졌지만, 절치부심 해서 다음엔 반드시 이길 거야."
✅ SNS에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할 때
- "조회 수가 잘 안 나와도 포기하지 않고 절치부심 하면서 계속 업로드해야 해!"
'고사성어의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주구검(刻舟求劍)의 뜻과 유래 (0) | 2024.12.15 |
---|---|
우공이산(愚公移山)의 뜻과 유래 (0) | 2024.12.15 |
연목구어(緣木求魚)의 뜻과 유래 (4) | 2024.12.15 |
명경지수(明鏡止水)의 뜻과 유래 (4) | 2024.12.15 |
촌철살인(寸鐵殺人)의 뜻과 유래 (1) | 202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