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다익선(多多益善)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뜻입니다. 무엇이든 많을수록 좋고, 풍족할수록 더 유리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표현은 물질적 풍요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능력, 자원, 사람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자급수 4II급 | |||
---|---|---|---|
多 | 多 | 益 | 善 |
많을 다 | 많을 다 | 더할 익 | 착할 선 |
다다익선(多多益善)은 실제로 한신(韓信)과 관련된 역사적 일화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중국 역사서 사기(史記) 중 한신열전(韓信列傳)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중국 초한전쟁이 한창이던 시기, 유방은 초나라의 강력한 적수인 항우와 대립하며 승리를 위해 전략을 구상하고 있었습니다.
그의 군대에는 탁월한 장수로 평가받는 한신(韓信)이 있었습니다. 한신은 이미 여러 전투에서 뛰어난 전략과 용병술을 발휘하며 한나라의 승리에 기여하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유방은 한신과 군사 전략에 대해 대화를 나누던 중 한신에게 자신과 같은 사람은 얼마나 되는 군대를 거느릴 수 있는지 물었습니다. 이 질문에 대해 한신은 유방이 10만명 정도 이끄는 데 적합하다고 대답을 했습니다.
그래서 유방은 다시 한신의 경우라면 얼마의 군대를 거느릴 수 있는지 물었습니다.
한신은 유방의 질문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고 자신 있게 다다익선이라며 병력이 많으면 많을 수록 좋다고 대답했습니다.
이 말에 유방은 웃으면서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면서, 어째서 자신의 밑에 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그러자 한신은 유방이 병사를 많이 거느릴 수는 없지만 장수는 잘 거느린다고 말했습니다.
이후 유방은 한신에게 더 중요한 역할과 막중한 책임을 맡겼습니다. 한신은 이를 계기로 한나라의 군대를 지휘하며 초나라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는 데 결정적인 공을 세웠습니다.
특히, 그의 전략적 승리 중 하나로 꼽히는 회음에서의 전투(배수진)는 초한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이 일화는 단순히 "병력이 많으면 좋다"는 뜻을 넘어,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강한 자신감과 그에 따른 책임감을 보여주는 한신의 태도를 상징합니다.
이후 한신은 초한전쟁의 여러 전장에서 수많은 병력을 지휘하며 항우를 물리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한나라가 통일을 이루는 데 큰 공헌을 했습니다.
한신은 자신의 대답처럼 실제로 병력이 많아도 이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입증해 보였습니다. 다다익선이라는 말은 그의 능력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일화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1️⃣ 유의어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십시일반(十匙一飯) - 여러 사람이 힘을 합치면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음.
적소성대(積小成大) - 작은 것이 쌓이면 큰 것이 된다는 뜻.
2️⃣ 반의어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과유불급(過猶不及) - 너무 많으면 오히려 부족한 것과 같다는 뜻.
단순명료(單純明瞭) - 복잡하지 않고 적을수록 더 효과적인 상황.
3️⃣ 실생활 사용 예시
📌 역사 속 사례
✅ 한신의 병법
- "한신은 병사가 많을수록 전투에서 유리하다고 믿었으며, 이는 다다익선(多多益善) 의 전형적인 사고방식이었다."
✅ 진시황의 영토 확장 정책
- "진시황은 영토를 넓히고 많은 인구를 확보하는 것이 국력 강화의 핵심이라 여겼다. 이는 다다익선 의 전략이었다."
📌 사회 & 직장
✅ 회사에서 인재를 많이 확보하려 할 때
- "우수한 인재는 많을수록 좋지! 회사도 다다익선 이라는 원칙으로 직원을 뽑고 있어."
✅ 프로젝트에서 자원이 많을 때 유리한 상황
- "개발팀에서 인력이 많으니까 업무 속도가 빨라졌어. 확실히 다다익선 이야!"
📌 학업 & 교육
✅ 책을 많이 읽는 것이 좋다고 할 때
-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지식이 늘어나지. 다다익선 이야!"
✅ 여러 개의 학습 자료를 준비할 때
- "시험 대비할 때는 요약 노트가 많을수록 좋아. 역시 다다익선 이지."
📌 일상 & 인간관계
✅ 음식을 넉넉하게 준비할 때
- "잔치 음식은 많을수록 좋아. 남으면 나눠 먹으면 되니까 다다익선 이지!"
✅ 돈이 많을수록 좋다고 할 때
- "돈은 많을수록 좋잖아? 다다익선 이라니까!"
✅ 옷을 여러 벌 준비할 때
- "겨울옷은 많을수록 좋아. 날씨가 변덕스러우니까 다다익선 이지!"
✅ SNS에서 여러 개의 콘텐츠를 올릴 때
- "조회 수 올리려면 영상 많이 올리는 게 답이야. 다다익선 이거든!"
'고사성어의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일삼성(一日三省)의 뜻과 유래 (5) | 2024.12.26 |
---|---|
오월동주(吳越同舟)의 뜻과 유래 (1) | 2024.12.24 |
각주구검(刻舟求劍)의 뜻과 유래 (0) | 2024.12.15 |
우공이산(愚公移山)의 뜻과 유래 (0) | 2024.12.15 |
절치부심(切齒腐心)의 뜻과 유래 (4) | 202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