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16

허장성세(虛張聲勢)의 뜻과 유래

허장성세(虛張聲勢)는, "실제로는 아무런 실속이 없으면서 겉으로만 허세를 부리며 떠벌린다"는 뜻으로 속은 비어 있으나 겉으로만 크고 강한 것처럼 꾸미는 것을 뜻합니다. 주로 상대방을 위축시키거나 속이기 위해 허세를 부릴 때 사용됩니다. 이 고사성어의 유래는 진(晉)의 장군 선진이 오록성을 함락할 때의 일화와 한경제때 이광의 일화가 있습니다. 그 이야기를 한번 알아볼까요?한자급수 4급虛張聲勢빌 허베풀 장소리 성형세 세[선진의 일화]진의 장군 선진이 위나라의 오록성으로 공격해 들어갈 때의 일이었습니다. 이때 선진은 군사들에게 깃발을 산이나 언덕을 지나갈 때마다 마구 꽂으라고 명령했고, 숲에는 수없이 많은 기치가 나부꼈습니다.  같이 행군하던 다른 장수가 '군사는 적진을 향해 소리없이 쳐들어가야 하는데 적이 ..

지록위마(指鹿爲馬)의 뜻과 유래

지록위마(指鹿爲馬)는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는 뜻으로, 명백한 거짓을 진실인 것처럼 꾸며 강압적으로 인정하게 만드는 행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사자성어입니다. 이 말은 주로 권력자가 자신에게 반대하는 사람들을 제거하거나, 거짓을 진실로 왜곡해 자신의 뜻을 관철하려는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 고사성어는 진나라 간신 조고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자급수 3급指鹿爲馬손가락 지사슴 록할 위말 마진시황 사후, 간신 조고(趙高)는 혼란의 중심에 서서 진나라 조정을 장악하려는 음모를 꾸몄습니다. 그는 권력을 손에 넣기 위해 교묘한 계략을 펼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먼저, 진시황의 후계 구도에 개입해 황제의 장남 부소와 명장 몽염을 제거했습니다. 그는 가짜 유서를 날조해 부소에게 자결을 명령했고,..

빙탄지간(氷炭之間)의 뜻과 유래

빙탄지간(氷炭之間)은 "얼음과 숯의 사이"라는 뜻으로, 서로 극히 다른 성질을 가진 것들, 즉 절대로 함께할 수 없고 화합할 수 없는 관계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한자성어입니다. 얼음과 숯은 그 성질이 정반대라 함께 존재할 수 없는 것처럼, 두 사람이 성격이나 목표, 이해관계 등이 달라 절대로 화합할 수 없는 관계를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이 사자성어는 중국 전국시대 굴원의 이야기를 배경으로 후대의 해석에서 비롯되었습니다.한자급수 3II급氷炭之間얼음 빙숯 탄어조사 지사이 간기원전 4세기, 중국 전국시대 초나라에는 뛰어난 시인이자 관료인 굴원(屈原)이 있었습니다. 그는 초나라 왕에게 충성하며 개혁을 추진하고 백성을 위한 진심 어린 제안을 올렸습니다. 굴원은 초회왕에게 나라의 앞날을 걱정하며 진심 어린 조언을..

쾌도난마(快刀亂麻)의 뜻과 유래

쾌도난마(快刀亂麻)는 "잘 드는 칼로 헝클어진 삼을 단번에 자른다"는 뜻입니다. 복잡하게 얽힌 문제를 시원하고 단호하게 해결하는 것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에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장군이나 관리들이 복잡한 문제를 단호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사례를 두고 사용되었다고 전해집니다.한자급수 3II급快刀亂麻쾌할 쾌칼 도어지러울 란삼 마고환(高歡)은 동위(東魏)의 대승상을 지내며 군사와 정치를 장악한 권력자로, 북제(北齊) 건국의 기반을 마련한 인물입니다. 그의 정치적 역량과 전략은 북제 성립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고환(高歡)에게는 여러 명의 아들이 있었고, 그는 이들의 능력을 시험해보고자 마음먹었습니다. 어느 날, 고환은 아들들을 불러 특별한 시험을 준비..

견리사의(見利思義)의 뜻과 유래

견리사의(見利思義)는 "이익을 보면 의로움을 생각하다"라는 의미로, 이익을 추구하는 상황에서 단순히 탐욕적으로 행동하기보다는, 도덕적이고 의로운 행동인지 숙고해야 한다는 가르침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중국 고대 철학서인 논어(論語) 헌문편(憲問篇)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이야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한자급수 4II급見利思義볼 견이로울 리생각할 사옳을 의어느 날, 공자의 제자인 자로가 스승에게 완성된 사람이란 어떤 사람인지 물었습니다. 이에 공자는 이상적인 인간상을 제시하며 완성된 사람의 덕목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공자는 완성된 사람에 대해 여러 덕목을 갖춘 이상적인 인간상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장무중의 지혜, 맹공작의 탐욕하지 않음, 변장자의 용기, 염구의 재능에 예와 악으로 품격을..

수어지교(水魚之交)의 뜻과 유래

수어지교(水魚之交)는 물과 물고기처럼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친밀하고 의존적인 관계를 뜻합니다. 물이 물고기의 생명 터전이듯, 수어지교는 둘 사이가 깊고 분리될 수 없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수어지교의 대표적인 예로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를 들 수 있습니다. 이 관계는 중국 삼국지연의는 물론 정사에서도 언급되며, 다음 이야기를 통해 수어지교의 깊은 의미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한자급수 3급水魚之交물 수물고기 어어조사 지사귈 교유비는 제갈량을 처음 만나 설득했을 때부터 그를 특별한 인물로 여겼습니다. 삼고초려 끝에 제갈량이 그의 천막 안으로 들어온 날, 유비는 마치 물고기가 물을 만난 것처럼 기뻐했습니다. 유비는 이후 제갈량과 식사를 같이 하고, 심지어 잠을 잘 때도 같은 방에서 잠을 청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