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의 유래

어부지리(漁夫之利)의 뜻과 유래

고사성어 이야기꾼 2024. 10. 17. 10:14
반응형

어부지리(漁夫之利)는 '어부(漁夫)의 이익'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이 서로 싸우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상황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서로 경쟁하다가 둘 다 지쳐버리면, 그 틈을 타 제삼자가 이익을 취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고사성어는 중국의 《전국책(戰國策)》이라는 책의 "연책(燕策)"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그 이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자급수 3II급
고기잡을 어 지아비 부 갈 지 이로울 리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조나라와 연나라는 서로 영토 문제로 대립하고 있었습니다. 조나라 혜문왕이 연나라를 치려고 할 때 연나라 왕은 조나라왕을 설득하기 위해 소대를 보냈습니다. 조나라 혜문왕을 마주한 소대가 이때 한 말이 어부지리의 유래입니다.



조개 한마리가 강가에서 입을 벌리고 햇볕을 쬐고 있는데 황새가 갑자기 뾰족한 부리로 조갯살을 쪼았습니다. 깜짝 놀란 조개는 입을 오무려 황새 중둥이를 다물어 버렸고, 황시는 조개의 입에 부리를 끼우고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황새가 말했습니다. "이 상태로 며칠만 비가오지 않는다면 너는 말라서 죽을 것이다."
그러자 조개도 지지 않고 말했습니다. "내가 계속 입을 다물고 있으면 너는 굶어 죽을 것이다."

둘이 그렇게 버티고 있는 사이 마침 그 광경을 보고 있던 어부가 둘을 한꺼번에 잡아버리고 말았습니다.


이 이야기를 들려준 소대는 조나라의 혜문왕에게 말했습니다. 지금 연나라와 전쟁을 벌이면 서로 손해만 보고, 강한 진나라가 어부가 될 것입니다. 소대의 비유가 일리가 있다고 판단한 혜문왕은 연나라를 칠 계획을 접었습니다.

이를 통해 어부지리는 서로 다툴 때 제삼자가 이득을 볼 수 있다는 교훈을 남겼습니다.

어부지리와 같은 뜻의 고사성어로는 견토지쟁과 방휼지쟁이 있습니다.

 

 

1️⃣ 유의어 (비슷한 의미의 표현)

견토지쟁(犬兎之爭) - 개와 토끼가 싸우다가 결국 제삼자가 이익을 얻는다는 뜻

방휼지쟁(蚌鷸之爭) - 조개와 도요새가 서로 다투다가 결국 어부에게 잡혀버린다는 뜻


2️⃣ 반의어 (반대되는 의미의 표현)

양자협력(兩者協力) - 갈등 대신 당사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모두가 이익을 얻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동고동락(同苦同樂) - 어려움을 함께 겪으며 기쁨을 나누는 관계로, 내부 구성원 모두가 상생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상생공영(相生共榮) - 서로 협력하여 함께 번영하고 발전하는 것을 의미


3️⃣ 실생활 사용 예시

📌  비즈니스 및 경제 사례 💰

✅ "두 대형 유통업체가 할인 경쟁을 벌이는 동안, 온라인 쇼핑몰이 어부지리로 고객을 대거 확보했다."
✅ "자동차 시장에서 두 글로벌 기업이 전기차 배터리 특허 소송을 벌이는 사이, 중국 기업이 어부지리로 시장을 장악했다."
✅ "국내 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놓고 경쟁하던 사이, 외국계 은행이 어부지리로 고객을 유치했다."
✅ "두 IT 기업이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경쟁을 벌이다가 마케팅 비용 부담이 커지자, 신생 브랜드가 어부지리로 시장에 안착했다."


📌  정치 및 외교 사례 🏛

✅ "여당과 야당이 치열한 공방을 벌이는 사이, 제3당 후보가 어부지리로 지지율을 올렸다."
✅ "두 강대국이 무역 전쟁을 벌이면서 서로의 경제에 타격을 입히는 동안, 제3국이 어부지리로 수출량을 늘렸다."
✅ "선거 유세 중 두 주요 후보가 서로 네거티브 공세를 펼치는 동안, 중도 성향의 후보가 어부지리로 부각되었다."
✅ "지역 강국들이 영토 문제로 갈등을 빚는 동안, 주변국이 어부지리로 군사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  스포츠 사례 ⚽🏀

✅ "두 강팀이 리그 우승을 두고 치열하게 다투는 동안, 3위 팀이 어부지리로 선두에 올랐다."
✅ "결승 진출권을 두고 두 팀이 연장전까지 혈투를 벌이자, 체력 소모가 큰 상태에서 다음 경기를 치른 탓에 상대 팀이 어부지리로 승리했다."
✅ "두 테니스 선수가 5세트까지 가는 접전을 벌이는 동안, 결승에서 만날 상대 선수가 어부지리로 체력을 아낄 수 있었다."
✅ "유럽 축구 이적 시장에서 두 빅클럽이 선수 영입 경쟁을 벌이는 동안, 중위권 팀이 어부지리로 유망한 선수를 영입했다."


📌  사회 및 일상 사례 🌍

✅ "직장 내에서 두 부서가 프로젝트 주도권을 두고 갈등을 벌이는 사이, 다른 부서가 어부지리로 새로운 기회를 얻었다."
✅ "두 명의 후보가 승진을 놓고 경쟁하다가 상사의 신뢰를 잃자, 제3의 후보가 어부지리로 승진했다."
✅ "동네의 두 음식점이 가격 경쟁을 벌이자, 그 사이에 신생 맛집이 어부지리로 고객을 끌어모았다."
✅ "아파트 단지 내 두 편의점이 점유율을 두고 경쟁하는 동안, 새로 생긴 무인 편의점이 어부지리로 손님을 끌었다."

 

4️⃣ 결론

어부지리는 누군가의 다툼이나 경쟁 속에서 제삼자가 이익을 얻는 상황을 표현하는 데 유용한 사자성어입니다. 정치, 경제, 스포츠,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