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89

세속오계 중 세 번째 계율 : 교우이신 (交友以信)

교우이신 (交友以信)은 세속오계(世俗五戒)의 세 번째 계율로, ""벗을 사귐에 믿음을 지킨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친구 사이에서 신뢰와 의리를 지키는 것이 인간관계의 기본이며, 공동체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덕목임을 강조합니다. 즉, ""친구를 사귈 때 신의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는 단순한 친분을 넘어서 신뢰와 의리를 중요하게 여기고, 서로에게 책임감을 갖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한자급수 5II급交友以信사귈 교벗 우써 이믿을 신교우이신은 공자의 유교 사상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공자는 벗을 사귈 때 신뢰를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맹자 또한 친구 간의 신뢰와 의리가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보았으며, 유교에서는 친구 관계가 단순한 친분이 아니라 서로를..

윤리 강령 2025.03.02

세속오계 중 네 번째 계율 : 임전무퇴 (臨戰無退)

임전무퇴 (臨戰無退)는 세속오계(世俗五戒)의 네 번째 계율로, ""전쟁에 임하여 물러서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신라 화랑들이 전장에서 끝까지 싸우며 용맹과 충성을 다해야 한다는 무사적 가치를 강조한 덕목입니다. 즉, "전쟁에 나아가서는 절대 물러서지 않는다"는 뜻으로, 전장에서 끝까지 싸워야 한다는 결연한 의지를 강조하는 말입니다. 한자급수 3II급臨戰無退임할 임싸움 전없을 무물러날 퇴신라의 화랑들은 군사적 핵심 세력으로서 전장에서 용맹을 떨치며 나라를 지키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특히 삼국 통일 과정에서 화랑 출신 장수들은 절대 후퇴하지 않는 정신을 실천하며 신라 군대의 강한 전투력을 유지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삼국사기에는 화랑들이 ""전장에서 죽을지언정 물러서지 않았다.""는 기..

윤리 강령 2025.03.02

세속오계 중 다섯 번째 계율 : 살생유택 (殺生有擇)

살생유택 (殺生有擇)은 세속오계(世俗五戒)의 다섯 번째 계율로, ""살생에는 가림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무조건적인 살생을 금하기보다는, 불가피한 경우에 한해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는 윤리적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신라 화랑들은 이 원칙을 통해 불교적 자비 정신과 전사로서의 책무를 조화롭게 실천하려 하였습니다. 즉, ""살생을 함에 있어 반드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는 뜻으로, 불필요한 살생을 삼가고 오직 정당한 이유가 있을 때만 행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한자급수 4급殺生有擇죽일 살날/살 생있을 유가릴 택신라는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며, 불교에서는 살생을 금하는 계율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러나 국가를 지키고 전쟁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무조건적인 불살생을 따를 수는..

윤리 강령 2025.03.02

흥진비래(興盡悲來)의 뜻과 역사이야기

흥진비래(興盡悲來)는 기쁨과 즐거움이 끝나면 반드시 슬픔이 온다는 의미로, 좋은 일이 오래 지속되지 않으며 세상의 모든 일이 변한다는 이치를 담고 있습니다. 지나친 기쁨이나 성공에 도취되지 말고 이후 찾아올 불행을 대비해야 한다는 교훈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부차는 구천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영광을 누렸지만, 결국 몰락의 길을 걸었습니다. 그의 삶을 돌아보며 흥진비래(興盡悲來)의 의미를 더욱 깊이 있게 탐구해 보겠습니다.한자급수 4급興盡悲來흥취 흥다할 진슬플 비올 래오나라 왕 합려(闔閭)는 월나라와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목숨을 잃었습니다. 새로운 왕이 된 부차(夫差)는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굳은 결의를 다졌습니다. 부차는 매일 굳은 결의를 다지며 오자서의 도움을 받아 군사력을 키웠..

여리박빙(如履薄氷)의 뜻과 재미있는 이야기

여리박빙(如履薄氷)은 “얇은 얼음을 밟는 것처럼 매우 위험하고 조심스러운 상황”을 뜻하는 한자 성어입니다. 즉, 얇은 얼음을 밟고 가는 것처럼 조심해야 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조금만 실수해도 얼음이 깨질 수 있듯이, 여리박빙은 극도로 신중해야 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다음 이야기를 통해 이 뜻을 더욱 깊이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한자급수 3II급如履薄氷같을 여밟을 리엷을 박얼음 빙옛날 어느 나라에 혜성(惠成)이라는 총명한 신하가 있었습니다. 그는 재상이 되어 나라를 다스렸으나, 왕은 성격이 변덕스럽고 감정이 쉽게 흔들리는 사람이었습니다. 어느 날, 한 대신이 왕에게 재상 혜성을 의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혜성이 백성들의 존경을 받으면서도 왕에게 아첨하지 않는 점을 지적..

전화위복(轉禍爲福)의 뜻과 유래

전화위복(轉禍爲福)은 ""불행이 오히려 행운으로 바뀐다""는 뜻으로, 위기나 고난이 더 나은 결과로 이어지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어떤 시련도 잘 극복하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희망적인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유래는 중국 전국시대 소진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으며, 그의 일화에서 전화위복의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제 그 유래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한자급수 3II급轉禍爲福구를 전재앙 화할 위복 복전국 시대, 중국 천하가 한(韓), 위(魏), 조(趙), 연(燕), 제(齊), 초(楚), 진(秦)으로 나뉘어 서로 대립하던 시기였습니다. 이때 소진(蘇秦)은 젊은 시절 자신의 뜻을 펼치기 위해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유세(遊說)했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조나라(趙國)에서는 그를 비웃었고..

아전인수(我田引水)의 뜻과 재미있는 이야기

아전인수(我田引水)는 “자기 논에만 물을 끌어온다”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이익이 되도록 행동하거나 말을 꾸미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행동에 대한 경계의 의미로 자주 사용됩니다. 다른 의미로는 '자기에게 유리한대로 해석한다'라는 의미도 있는데 요즘은 오히려 이 의미로 많이 쓰입니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통해 아전인수의 의미를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한자급수 3II급我田引水나 아밭 전당길 인물 수옛날 어느 마을에 정의감으로 유명한 젊은 농부 정수가 있었는데, 그는 유명세를 얻고 싶어 농촌 일손을 도우며 착한 이미지를 쌓았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속으로 자기 이익만을 가장 먼저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어느 해에 가뭄이 들어 논밭에 물을 대는 일이 중요해졌고, 마을 어귀에 있는 수로(水路)..

심기일전(心機一轉)의 뜻과 재미있는 이야기

심기일전(心機一轉)은 마음가짐이나 자세를 새롭게 다잡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마음가짐이나 자세를 전환하여 새로운 결의를 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어떤 일을 실패하거나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낙담하지 않고 결심을 새로이 하여 마음을 가다듬고 재도전하는 태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다음 이야기를 통해 좀 더 심기일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한자급수 4급心機一轉마음 심베틀 기한 일구를 전옛날 한 시골 마을에 위청(衛靑)이라는 청년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검술을 익혀 세상에 나가 공을 세우고자 했지만, 평범한 재능 탓에 사람들의 비웃음을 사곤 했습니다. 사람들은 위청을 비웃으며 그의 꿈을 헛된 일이라 조롱했습니다. 하지만 위청은 결코 포기하지 않고 매일 산에 올라 목검을 휘두르며 달리기로 체력을..

종두득두(種豆得豆)의 뜻과 유래

종두득두(種豆得豆)는 "콩을 심으면 콩이 나고, 팥을 심으면 팥이 난다"는 뜻으로, 자신이 행한 대로 결과가 나타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다른 말로 원인에 따라 반드시 그에 맞는 결과가 생긴다는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이치를 상징합니다. 이 사자성어는 중국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시에서 유래했습니다. 그의 시 내용을 통해 종두득두의 의미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한자급수 4II급種豆得豆씨 종콩 두얻을 득콩 두옛날 중국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는 백성의 삶과 고통을 노래한 시인으로 유명했습니다. 그는 어려서부터 학문을 즐기며 정의롭고 청렴한 성품으로 이름이 알려졌습니다.  조정에서 벼슬을 하던 그는 부정부패와 불공정한 일에 단호히 맞서며 흔들림 없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권력에 아부하거..